말을 하다보면 아주 적절한 말로 비유하거나 사자성어나 속담을 이용해서 더욱 명쾌하게 설명하고 싶은 욕구가 생깁니다. 하지만 사자성어가 가물가물하고 생각이 안나 답답할때가 있죠. 자주 쓸 수 있는 유용한 사자성어를 하나씩 알아볼까해요. 정말 좋은 뜻, 늘 이 말을 쓰고싶은 상황이 있었으면하는 사자성어에요 일거양득 一擧兩得 한 번 들어서 두가지를 얻는다는 말로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비슷한 말로 일석이조도 있습니다. 일석이조 一石二鳥 돌멩이 하나를 던져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는 말로 한 번에 두 가지의 이득이 생겼을 때 쓰는 말이에요. 아래 기사처럼 쓸 수 있겠죠 포스팅도 하고 사자성어 공부도 하고, 일거양득, 일석이조네요 ! 간단한 사자성어를 써서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하면 ..
명절이 다가오면 시작되는 깊은 고민. 조카들 용돈을 얼마나 줘야할까 ? 조카들이 어릴땐 상관없는데, 초등학생이 되면서 이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 저만의 고민은 아니죠 ? 어른들과 아이들이 기대하는 세뱃돈 EBS 교육 콘텐츠 전문회사 스쿨잼이 초등학생과 어른 1138명을 대상으로 세뱃돈 적정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어른은 1만원, 초등학생은 5만원이 가장 적당하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몇년째 이 통계가 계속 똑같이 나온다고 하네요. 어른들과 초등학생 사이의 생각차이가 이렇게나 크네요. 어른의 경우 43.0%가 1만원을 택했습니다. 이어 3만원(20.0%), 2만원(14.5%), 5만원(11.7%), 5천원(3.5%) 순이었습니다. 어른들이 부담없이 줄 수 있는 금액이 1인당 1만원인 것 같아요..
저는 어렸을 적에 할머니가 매일 윷놀이를 하셔서 둘이서 매일 질릴때까지 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최근에는 해 본적이 없어서 윷놀이 하는 방법과 말놓는 규칙이 가물가물하네요. 명절에 사람들이 모이면 다같이 할 수 있는 윷놀이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윷놀이하기 전 준비물을 확인해볼까요 ! 윷놀이 준비물 - 윷가락 4개 (4개 = 1세트) - 윷판과 말 ( 말 4개씩 2세트, 두 편으로 나누어 진행) 먼저 윷놀이는 한쪽은 둥글고 다른 한쪽은 평평한 모양의 윷가락을 가지고 하는 놀이로, 던져서 나온 윷의 모양에 따라 윷판의 말을 움직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입니다. 윷가락의 평평한 부분이 위로 보이는 숫자만큼 말을 윷 판에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젖혀진 숫자에 따라 하나는 ..
퇴사하면 날라오는게 건강 보험증만은 아니죠. 국민연금 어떻게 할건지 묻는 우편물도 날라오더라구요. 건강보험료에 이어서 국민연금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국민연금은 국가의 사회보장제도 중에서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사회보험제도의 하나입니다. 사회보험은 국민 모두의 소득 일부를 갹출하는 강제성이 있습니다. 직장인이라면 월급에서 미리 떼가버리고, 자영업자는 고지서가 날라오죠. 국민연금 가입자 국민연금은 사업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나뉩니다. 건강보험의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같은 개념입니다. 사업장은 1인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소, 사무소 등을 뜻합니다. 이 사업장의 사용자와 근로자는 국민연금에 가입되게 됩니다. 이렇게 사업장으로 국민연금에 가입된 사람들을 사업장 가입자 라고 합니다. (18세 이상,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