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 많이 들어보셨죠. 요즘 가장 변화가 많이 그리고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분야라고 할수 있는 것 같아요. 핀테크의 뜻과 어떤 유형이 있고 우리가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Fintech 핀테크 Finance + Technology : 금융 + 기술 (IT, 정보기술)이 결합한 서비스 를 뜻하는 말입니다. 각 은행의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 이외에 정보기술의 개선, 혁신으로 나오는 새로운 금융기술을 핀테크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보통 삼성페이나 토스 이런 서비스를 핀테크로 떠올리시죠. 맞습니다. 이렇게 우리에게 익숙한 금융 서비스를 포함해서 핀테크에는 몇가지 유형이 있다고 합니다. 크게 네가지로 나눈다고 합니다. 1. 지급결제 방식 2. 금융데이터 분석 3. 금융 소프트웨어 4. ..
은행 별로 정기적금 금리, 예금 금리가 조금씩 다르죠. 요즘에는 워낙 금리가 낮아서 큰 차이가 나지 않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금리가 높은 은행을 찾아본 후 가입하는게 좋겠죠. 제1금융권 은행들, 그리고 저축은행들의 금리를 검색해서 비교해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고해서 공유해드립니다. 시중은행 확인법 먼저 알아보고, 저축은행 금리 확인법 알려드릴께요. 1. 제 1금융권 은행 (시중은행) 먼저 제1금융권은행들의 금리를 확인해보고 싶으면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됩니다. ▼전국은행연합회 홈페이지 https://www.kfb.or.kr/main/main.php 은행 예금, 적금 금리비교를 위해 전국은행 연합회 홈페이지에 들어갔습니다. 메인화면에서 조금 아래쪽으로 내려보시면, 자주찾는 메뉴가 나옵니다. ..
제 1금융권부터 2, 3금융권, 또 시중은행, 저축은행, 지방은행 등등 은행을 부르는 단어들이 많은데요. 제1,2,3 금융권을 기준으로 차이를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제 1금융권 주로 우리가 많이 이용하는 은행을 말합니다. 특수은행, 일반은행, 지방은행, 인터넷 은행을 통틀어 제 1금융권이라고 합니다. 예금, 대출, 각종 펀드와 보험 판매 등 다양한 금융업무를 제공해주는 은행입니다. 1-1. 특수은행은 수출입은행이나 중소기업은행처럼 정부가 특별한 목적으로 설립한 은행을 말합니다. 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수협, 농협, 산업은행 등등 1-2. 일반은행은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같은 시중은행을 말하죠. *시중은행 : 전국적인 점포망을 가지고 있는 상업은행 1-3. 지방은행은..
재테크, 주식, 부동산 등등 경제 관련 글을 읽거나 유튜브만 보더라도 레버리지, 레버리지 많이 듣게되죠. 도대체 레버리지가 무슨 의미인지 알아볼께요. 레버리지 효과란 ? 레버리지는 leverage 로 지렛대, 지렛대 사용이라는 뜻입니다. ( 영국이나 호주에서는 gearing 이라고 한다고 함.) 레버리지 효과란 타인에게 빌린 돈을 지렛대처럼 이용해서 자기자본의 이익율을 높이는 것입니다. 지렛대를 사용하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무게를 들어올릴 수 있죠. '타인의 자본'이 지렛대가 되고 그 지렛대의 힘이 내자본과 합해져서 큰 무게를 들어올리듯 큰 수익을 내는 방법입니다. 즉, 큰 수익을 내는 도구로 빚 ( 대출, 빌린돈 등등) 을 이용하는 것이죠. 투자되는 돈이 클 수록 수익도 더 커지기 때문에, 빚을 이용해..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